본문 바로가기
동물사전

고양이 응급상황 및 응급조치 방법

by 말복펀치 2021. 9. 11.
반응형

1. 구급상자 준비하기

고양이 응급조치를 위해서는 16가지 품목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1)가위: 고양이의 저항을 고려하여 끝이 뭉툭한 가위로 준비합니다.

2)핀셋: 다리에 박힌 조각을 빼 낼 때 필요합니다. 처치 시 고양이의 안전을 위하여 끝부분이 평평한 핀셋으로 준비합니다.

3) 일회용 고무(또는 라텍스) 장갑: 깨끗하고 물기가 없는 손으로 응급처치를 해야 위생에 좋습니다.

4) 체온계: 응급상황 뿐만 아니라 내원할 수 없을 경우를 대비하여 집에서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5) 과산화수소: 소독하는 역할을 위해 필요합니다.

6) 주사바늘이 없는 일회용 주사기 또는 점안기: 물을 강제로 먹여야하는 경우 혹은 과산화수소를 발라야하는 경우를 위해 필요합니다.

7) 면봉 또는 솜뭉치: 상처 부위의 오염을 닦아내기 위하여 필요합니다.

8) 항생연고 또는 일회용 향균 물휴지: 상처가 심하지 않은 경우, 항생연고 또는 일회용 향군 물휴지를 사용하여 일차적인 조치를 하면 감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

9) 수건: 두 장 이상 필요합니다. 하나는 바닥에 깔아 응급 처치할 공간을 만들고, 다른 수건은 처치 이후 뒷정리를 할 때 유용합니다.

10) 거즈: 상처를 봉합하고 상처 부위에 적절한 압박을 줄 때 필요합니다.

11) 의료용 반창고: 거즈 고정시 필요합니다.

12) 자가접착식압박붕대: 응급처치를 하다가 물리거나 상처를 입었을 경우 반려인에게 필요합니다.

13) 입마개 또는 두건: 신속하고 안전한 처치를 위해 필요합니다.

14) 담요: 이동할 때 흥분한 고양이를 꽁꽁 싸매거나, 추위에 떠는 고양이를 위해 필요합니다.

15) 고양이 이동장: 고양이와 함께 대피하거나 응급처치가 끝난 고양이를 병원으로 이송할 때 반드시 필요합니다.

 

2. 응급상황 판단 및 CPR 하는 법

1) 고양이가 피를 흘리는 경우에는 거즈를 사용하여 피가 흐르는 부위를 즉시 압박해야합니다. 병원에 도착할 때까지 지속합니다.

2) 다른 동물에 물렸을 경우에는 상처의 크기에 상관없이 반드시 내원하여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감염의 위험 뿐 아니라 몸 내부에도 상처가 났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고양이들끼리 싸움이 일어난 경우에는 한 마리의 몸에 담요를 완전히 덮어서 떼어내야 합니다.

3) 발작을 일으켰을 경우에는 안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발작 중인 고양이를 절대 만지면 안되며, 특히 고양이의 입 쪽으로는 손을 갖다 대서는 안됩니다.

4) 목 바로 뒤, 즉 등이 시작되는 쪽 어깨뼈 사이의 말랑한 살을 손가락으로 당겨보았을 때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는 시간이 2초 이상 걸릴 경우 탈수가 의심됩니다. 혹은 텐트모양처럼 피부가 세워져있는 상태로 계속 유지될 경우에는 탈수가 심각한 상태입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보인다면, 응급상황입니다!

심장마비 또는 기절할 정도의 열사병, 40도가 넘는 고열, 피가 섞인 설사나 구토, 극도의 창백함 또는 숨 쉬는 것을 굉장히 어려워함, 심장박동수의 증가, 입 또는 코에서 나오는 점액이 빨갛게 변함, 타액 분비량이 증가, 쓰러질 정도로 몸이 흔들리는 경우 입니다.

 

-CPR

1) 맥박은 있으나 숨을 쉬지 않는 경우에는 입을 살짝 감싸 쥐어주시고 1초 간격으로 고양이의 코에 바람을 불어 넣어 가슴이 부풀어오르도록 만들어줍니다. 머리(코)와 가슴(폐)이 일직선을 이룬 상황에서 인공호흡을 해야만 공기가 충분히 들어갈 수 있습니다. 혀가 안으로 말려 있어서 호흡을 방해한다면 혀를 입 밖으로 빼줍니다.

 

2) 호흡과 맥박이 모두 없는 경우에는 왼쪽 가슴이 위로 오도록 눕혀주시고, 고양이의 혀를 길게 빼서 옆으로 늘어뜨려줍니다. 그리고 평소 잘 쓰지 않는 손을 고양이 몸과 바닥 사이에 넣어 고양이의 몸을 받쳐줍니다. 그 다음 반대편 손을 앞다리 뒷편에 올려주시고 위에서 아래로 압박해줍니다. 이 때 손의 위치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5회 압박한 후, 옆 사람이 고양이에게 숨을 불어넣어 줍니다. 혼자 있을 경우에는 한 사람이 두 과정을 한 꺼번에 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